돌아오는 주는 설날 연휴의 마지막처럼 이어진 주일을 맞이하게 되는군요.
오랜만에 친척들과 가족들과 행복한 시간들을 보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그마저도 계획을 접으신 분들도 많으신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아마 명절로 인해 몸도 마음도 성경을 깊게 연구해 보는 시간을 갖는것이 쉽지 않으셨을텐데,
그래도 금요모임 중에 돌아오는 주일 말씀을 함께 연구한 몇분 성도들의 질문이 있습니다.
그 질문들을 함께 살펴보고 고민해보는 것만으로도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아래는 돌아오는 주일 본문인 창세기 1장 14절에서 25절까지 말씀을 가지고 뉴시티광염교회 성도들이 관찰 연구한 질문들 입니다.
참 귀한 질문들 입니다.
예배에 앞서 한번씩 살펴보시며 고민함으로, 기대함으로 주일 예배때 뵙겠습니다.
사랑합니다~!
창세기 1장 14~25절
14절 – | 2잘 8절에서 궁창을 하늘이라고 부르셨다고 했는데, 왜 14절에서 다시 ‘하늘의 궁창’이라고 부르는 것일까? 궁창을 하늘의 소유격으로 사용하는 이 독특한 표현이 계속해서 반복되어 사용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
14절 – | 식물을 창조하시고나서야 광명체를 만드신 이유가 무엇일까? |
14절 – | 14절에서 이미 징조와 계절과 해를 이루라고 하시며 15절에서 그대로 되니라하셨으면서, 16절에 가서 두 큰 광명체와 별들을 만드셨다는 말씀이 왜 또 있는 것일까? |
16절 – | 낮과 밤을 주관하는 광명체를 구분하여 두신 이유가 무엇일까? |
16절 – | 낮과 밤을 광명체들에게 주관하게 하셨다고 하는데, 창조하심보다 주관(멤샬라:통치)하심이라는 표현이 더 두드러지게 표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16절 – | 16절에서는 주관이라는 단어가 [멤살라]이고, 18절에서는 주관이라는 단어가 [마샬]인데, 단어의 차이가 있을까? 단어들이 구별되어 사용된 이유가 있을까? |
20절 – | 땅위 하늘의 궁창에 새가 날으라고 하셨는데, 결국 땅에서 번성하는(22절) 새들을 ‘하늘’이 아니라 ‘하늘의 궁창’에서 날게 하신 이유가 무엇일까? |
20절 – | 셋째날 창조에서 땅이 식물을 내어주도록 하나님이 땅에게 명령하신 것처럼, 다섯째날에는 하나님이 물에게 명령하시는데, 땅이 식물을 낸것과 마찬가지로 물이 물고기들을 낸것인가? 그런것이 아니라면 셋째날과 다섯째날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
21절 – | 다섯째날 창조 사역을 마치시며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다’고 하는데, 이때 바다의 큰 짐승(탄님)도 포함하여 해당하는 것인가? |
21절 – | 보시기에 좋았다는 표현이 대부분 날의 마지막 표현이었는데, 이 표현 뒤로 복을 주셨다는 표현이 다섯째날 창조에는 더 등장한다. 다섯째날의 피조물들에게 복을 주신 이유는 무엇일까? |
24절 – | 땅의 생물을 기는것, 가축, 땅의 짐승으로 구분하신 것은 어떤 의미인가? |
25절 – | 땅에 기는 모든 것이라고 했는데, 뱀도 이에 속하는가? 아니면 인간의 타락 이후로 다리를 잃어 기어다니게 된 것이니, 아직 뱀은 일반 짐승에 속할까? |
25절 – | 공룡들도 이 시기에 창조되었을까? 그렇다면 첫사람 아담과 하와가 이 공룡들도 다스렸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