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오는 주일 본문은 창세기 3장 1~6절까지 말씀입니다. 
3장은 구절은 짧지만 다루어야 할 주제들과 내용들은 참 많은 본문입니다. 
타락과 죄의 결과 부분을 나누어 설교하려고 본문을 짧게 잡았습니다. 
아래는 첫사람 아담의 타락에 대한 본문을 미리 연구한 성도들의 질문들입니다. 

주일 말씀을 기대하는 마음으로 미리 함께 살펴보기 위해 공유합니다. 
사랑합니다. 

 

  • 창세기 3장 1~6절

 

1

2장의 마지막 문장과 연결되는 내용도 아닌데, ‘그런데라는 접속사가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하나님이 뱀을 처음부터 간교하게 만드신 것일까? 아니면 스스로 간교하게 것일까? 하나님이 그렇게 만드셨다면 억울할 같고, 스스로 그렇게 되었다고 해도 결국 구속사의 역할을 감당하게 것인데 억울하지 않을까? 

1

뱀과 여자가 어떻게 의사소통을 있었을까? 타락하기 아담과 하와는 동물과 의사소통할 있는 능력이 있었던 것일까? 아니면 당시 뱀이 사람의 언어를 있는 능력이 있었던 것일까? 아니면 사탄이 뱀을 매개로 하여 빙의하듯 내면의 소리로 의사소통을 시도한 것일까?  

1

하나님이 만드신 동물중에 가장 간교하다는 표현이나 다른 단어가 아니라, ‘들짐승중에 가장 간교하다고 하며, 범주를들짐승으로 정하는 것에 의도가 있어 보이는데, 성경은 뱀을 들짐승증에서 가장 간교하다고 하셨을까?

1

뱀을 사탄이라고 보아도 될까?

1

뱀이 하와에게 거짓말을 하면서까지 꾀하려고 하는 것은 어떤 유익을 위해서 그랬던 것일까?

1

뱀은 아담이 아닌 하와에게 접근했을까?

1

뱀이 남자에게 묻지 않고 여자에게 먼저 물었는데, 여자가 혼자 있었던 것일까? 남편은 어디에 있었을까? 6절을 보면 함께있는 남편에게 주었다는 표현을 보아 남자도 현장에 함께 있었던 것은 아닐까? 

2

2-3절에서 하와가 하는 말은 2:16-17에서 하나님이 하신 말씀과 세부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데, 이건 아담이 전달하는 과정에서의 차이일까? 하와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거나 혹은 과장되게 생각한 결과일까?

3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는 동산의 중앙에 두었을까? 안보이는 곳에 두시거나 울타리를 치시거나 불칼로 지키시거나 아예 만들지 않으시는 것이 인간을 보호하는 아니었을까? 먹으면 죽을 것이라고 하시고선 보기 좋은 곳에 먹기 좋은 곳에 두셨을까?

4

하나님은 영적이고 영원한 죽음을 이야기했지만, 뱀이 죽지 않을 것이라고 것은 육체적인 즉사란 없을 것임을 이야기 것일까? 아니면 정말 영원한 죽음도 없을 것이라고 거짓말을 것일까?

4

뱀은 선악과를 먹어도 결코 죽지 않을것이라고 했는데, 하나님이 말씀하신 죽음과 무엇이 다른 것일까? 아니면 그냥 단순한 거짓말일까?

3

하나님의 명령은 단지먹지 마라였는데, 하와가 말에만지지도 말라 덧붙인 이유는 무엇일까? 하나님은 먹는 날에는반드시 죽으리라하고 말씀하셨는데, 하와는죽을까 하노라 말한 이유가 무엇일까?

4

하나님은반드시 죽으리라라고 하셨고, 하와는죽을까 하노라하였는데, 뱀에 이르러결코 죽지 아니하리라 변해가고 있는 것은 의도가 있는 표현일까? 

5

선악을 알게 되는 것을 눈이 밝아지는 것으로 표현할까?

5

선악을 알게 될것이라고 했는데, 무엇이 선이고 무엇이 악인가? 선악의 정확한 개념은 무엇인가? 

5

눈이 밝아진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5

선악과를 먹기 전에는 선악에 대해서 알지 못했을까? 3:22에서 사람이 선악을 아는 일에 우리 하나같이 되었다고 하시는 부분을 보면 전에는 선악을 몰랐던 것일까? 

5

하와는 아담에게 선악과를 것일까? 혼자만 죽을까봐 두려워서일까? 아니면 혼자서는 죄책감을 감당하기 어려워 남편을 끌어들이기 위함일까? 아니면 남편도 함께 하나님 같이 지혜로워지길 바라는 마음이었을까?

6

먹음직, 보암직, 탐스러운 나무에 대한 묘사는 2:9에서 보기에 아름답고 먹기에 좋은 나무가 나게 하셨다는 말씀을 연상시키는데 어떤 연관이 있을까?

6

지혜롭게 할만큼이라고 표현했는데, 선악을 알게 되는 것이 지혜롭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을까?

6

남편(에노쉬)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을까?

6

결국 아담이 선악과를 먹음으로써 모든 죄악과 타락이 시작되게 되었는데, 정작 하와가 선악과를 먹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비해 너무 간단하게 묘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뱀과 하와의 대화보다 많은 대화가 오고가야 했던 상황 아닐까? 의도적으로 생략한 것일까? 아담이 정말 너무 쉽게 받아 먹은 것일까?

6

먹음지, 보암직, 지혜롭게 할만큼 탐스러움, 세가지 정욕이 예수님의 광야 시험과 관련이 있을까?